GIGABYTE GA-H81M-D2V: mATX, usb 3.0 x 6, Realtek ALC 887, 226x174(mm), 60천원
GIGABYTE GA-H81M-HD3: mATX, usb 3.0 x 6, Realtek ALC 892, hdmi, display port, optical S/PDIF, 244x190(mm), 72천원
GIGABYTE GA-H81N: mini-iTX, usb 3.0 x 2, Realtek ALC 887, 4K 지원, hdmi, dvi-d (1920x1200), d-sub, 5phase 전원부, 170x170(mm), 102천원
GIGABYTE GA-B85N: mini-iTX, usb 3.0 x 4, Realtek ALC 898, 4K 지원, hdmi, dvi-i (2560x1600), optical S/PDIF, 6phase 전원부, 170x170(mm), 127천원
GIGABYTE GA-H87N-WiFi: mini-iTX, usb 3.0 x 6, Realtek ALC892, 4K 지원, dual hdmi, optical S/PDIF, 4phase 전원부, wifi + bluetooth, 170x170(mm), 173천원
Intel Pentium G3420: TDP 54W, 72.2천원
Intel i3 4130: TDP 54W, 133.18천원
Intel i5 4570: TDP 84W, 227천원
i5 4570 이상에서 TSX 지원.
http://www.avsforum.com/t/1514654/pentium-g3420-poweful-enough-for-my-htpc-requirements 에 의하면
G3420 이 10-bit 1080p 영상을 100fps 로 돌릴 수 있다고 함.
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frashart&logNo=80199738999 의 테스트에 의하면
G3220 + GIGABYTE GA-H81M-D2V: idle 36W, fool load 64W 라고 함. 그러니까 CPU 말고 보드에서도 10W 정도 소비한다는 것 같다.
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moonchild_84&logNo=90174752193 의 테스트에 의하면
i5-4660 + ASRock Z87 Extreme 4: idle 38W, fool load(100%) 96W. 그런데 이상하게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을 돌릴 때 164W 까지 소비한다는 얘기도 있다.
CPU 의 적정온도: 최대 90도나 100도까지 견딘다는 얘기가 있다. 보통 load가 걸렸을 때 60도, 55도, 50도 정도가 적당하다는 얘기가 있다. 온도가 낮을 수록 오래 간다는 얘기가 그럴듯 하다.
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: 41.6천원 x 2
메모리 채널이 2개 이므로 8GB 한 개로 하면 후에 램을 늘리기에 좋겠지만, main board 에서 dual channel 을 지원하기 때문에 4GB 두 개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두 배의 메모리 속도가 나온다.
하지만 실제 사용에서는 2~3% 정도의 성능 향상이라고 한다. 내장 그래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는 얘기도 있다. 예를 들어 윈도우 체험지수가 4.7 -> 6.3 이 됐다는 얘기가 있다.
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: 5년 as, 94천원
ADATA 의 경우에 속도가 더 높고 가성비도 비슷하게 좋지만, SanDisk 의 경우 as 기간이 길어서 더 안정적일 거라고 생각한다.
<무선랜>
ipTIME N100MINI: USB 타입, 8천원
인텔 듀얼밴드 Wireless-AC 7260 Plus BlueTooth, 40천원
802.11ac 지원 max 867Mbps. 듀얼밴드로 5GHz 까지 지원. (그런데 지금 AP 로 쓰고 있는 게 어차피 802.11n 까지만 지원한다)
인텔 Centrino Wireless-N 135, 15천원
802.11n 지원, 싱글밴드, 블루투스 4.0
<블루투스>
EzNet NEXT-104BT v4.0/USB동글: 7.5천원
SanDisk USB Facet Z55 8GB 실버 : 5.2천원
Pcpop View: 29천원
Brovotec v4: mATX, ITX 보드 지원, 알루미늄, 제작은 중국 Jonsbo, 111천원
Turex Doma Pro Max: 32천원
Turex DIY 1.5 (or 2.2)
Streacom FC5 WS: recommended TDP 65W, 5.2kg, 290 USD
Streacom FC10: max TDP 95W, 5.4kg
Streacom DB4: mini-iTX 보드 지원, max TDP 260W, 미출시
HD-PLEX H10.S: max TDP 125W, 7.5kg, 258 USD
HD-PLEX H5.S: max TDP 75W, 7kg, 258 USD
HD-PLEX 는 optional 150W PicoPSU 150-XT Combo (69.5 USD) 추가 가능.
Parkoz 이원대의 자작품 (제목: [자작] HD61AG + i3-2100 팬리스 PC)
Lian Li PC-A04 black: silver 색이 좋은데 일부에 검은 플라스틱이 에러라는 평, 104천원
Lian Li First Knight PC-K9B, 127천원
enship case: mini-iTX 용 오픈 아크릴 케이스, "1만원대 아크릴" 로 interpark 에서 검색 =>(http://www.interpark.com/product/MallDisplay.do?_method=Detail&ns1=list&ns2=oldList&ns3=prd&sc.shopNo=0000100000&sc.dispNo=008001&sc.prdNo=689606554): 15천원
Streacom, HD-PLEX 나 이원대의 작품은, 케이스가 방열판 역할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다. 따라서 CPU cooler 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. 하지만 Streacom 은 너무 비싸다. 국내에서는 파는 곳이 없어서 수입해서 사려면 40만원 이상 들어갈 듯. 이원대 작품은 역시 살 곳은 없고 직접 방열판과 판재를 주문하고 잘라야 하는데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것 같다. 참고로 이원대의 방열판은 서울메탈(http://www.seoulmtl.co.kr/)에서, 판재는 동진산업(http://www.profileok.com/)에서, heatpipe는 피에스코(http://www.piesco.co.kr/)에서 주문, 구입했다고 한다.
Streacom과 HD-PLEX 제품의 모양에 큰 차이는 없는데, HD-PLEX 의 무게가 더 무겁다.
모양이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Streacom DB4. max TDP도 높다. 문제는 미출시에 mini-iTX 보드만 지원한다는 것.
현실성 있는 소음 해결책은, Turex DIY 1.5 에 fanless CPU cooler, 무소음 PSU, SSD 를 달면 무소음에 발열걱정이 없는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다. 먼지가 쌓이는 게 걱정이지만 송풍기(보쉬나 스킬 제품)를 사서 며칠에 한 번씩 불어주면 될 것 같다.
알루미늄 가공업체: 신진CNC, 태성조각, devicemart, 신성컴퓨터조각
devicemart 에서 300x300x3 짜리 알루미늄 판재가 8천원 (품절).
세운상가와 서울극장 사이 골목에 금속 가공, 조각하는 가게들이 많다고 함. 2000년 정도에 구멍 하나에 1천원 정도.
신진CNC 에 문의: G4 Cube 모양의 직육면체에 윗면과 아랫면이 없는 형태의 알루미늄 상자 2T 로 만들 때 (ㄷ + l 형태) 15만원 정도. 3T로 하면 몇 만원 추가되는 정도.
Nofan CR-95C: max TDP 95W, fanless, 직경 180 높이 148 아래턱까지 높이 40 (mm), 74천원
Nofan CR-80EH: max TDP 80W, fanless, 직경 155 높이 113 (mm), 34천원
Streacom HT4 Thermal Riser: http://www.streacom.com/products/ht4-thermal-riser/
Streacom SH2 Heatpipes: http://www.streacom.com/products/sh2-standard-heatpipe-kit/ (or Streacom LH4 Heatpipes)
그냥 heat pipe 나 heat pipe 장착판을 따로 사고 싶을 때. 그런데 haswell 1150 규격에 맞는 지는 모르겠다.
CR-95C 는 너무 부피가 커서 mATX 보드의 경우 장착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하고, mini-iTX 보드는 거의 안 되는 것 같다. 게다가 가능하더라도 메모리나 다른 부품들 위를 덮게 될 것 같다.
CR-80EH 는 GIGABYTE GA-H81M-DS2V 에 장착이 가능하다는 다나와 QnA 답변이 있는 걸로 보아 GA-H81M-D2V 에 장착이 가능할 것 같다.
http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lovenabi93&logNo=203324126 에 의하면
실내온도 22.7도에서 max TDP 55 인 Intel Celeron G1630 으로 온도를 측정했는데,
Turex Doma 위와 같이 완전히 open 된 상황에서 CR-95C 는 idle 34, load 47 CR-80EH 는 idle 36, load 54.5 도,
케이스 안에 케이스 팬이 안 도는 상황에서 CR-80EH 는 idle 39, load 56 도, 케이스 안에 케이스 팬이 도는 상황에서 CR-80EH 는 idle 34, load 47 도였다.
(CR-95C 는 케이스 안에 넣지 못했다고 함. 다른 쿨러들과의 비교패턴을 보면 아마 케이스 안에서 케이스 팬이 안 돌면, idle 35, load 50, 팬이 돌면 idle 30, load 4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.)
그런데 여름에 30도 정도 되면 이 수치에서 10도 정도 올라간다는 얘기같은데.
한편, 이 쿨러들이 메인보드 위의 다른 부품들 곁에 접근해서 열을 방사하므로 메인보드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있다.
http://cdmanii.com/4030 에서 CR-80EH 테스트 한 것에 따르면 윗쪽으로 열이 발산돼 올라가서 웹서핑 정도를 할 때 (실내온도 22.2도) 상단부분은 41.7도 하단부분은 31.6도 정도로 위와 아래의 온도차이가 10도나 난다고 한다.
이것은 옆으로 세워놨을 경우인데 바로 세워놨을 때는 어떨지 모르겠다. 글쓴이는 heatpipe 가 1개이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. 한편 이 실험에서 케이스 안에 넣고 (아마 팬이 돌지 않는 상황에서) 메인 보드의 다른 부위도 상단부분과 비슷한 온도가 나오는데 이것은 아마 CR-80EH 의 영향이 아니라 원래 40도 정도는 되기 때문인 것 같다.
****************
1. PSU 구입시 Haswell C6/C7 low power state 지원을 고려해야 하는가?
- 하스웰 전력모드를 지원하는 것이 안정적이면서 전력소비도 줄여준다는 얘기가 있다. (http://techreport.com/review/24897/the-big-haswell-psu-compatibility-list) haswell 절전모드가 minimum sleep power consumption 을 6W 에서 약 0.6W 으로 줄였다고 함. 이것을 지원하려면 CPU 의 파워를 공급하는 +12V2 에서 0.05A 이하의 전력공급이 가능해야 한다. http://www.intel.com/reseller/psu_selector/ 의 표에서 12V2 Min Load 항목이 Yes 인 것들은 확실히 지원한다. PSU 가 지원하지 않으면 C6/C7 절전모드를 off 시켜놓으면 된다.
- 여기에서 절약되는 전력이 별로 많지 않다는 얘기도 있지만 idle 상태에서 24W에서 21W 로 줄었다는 얘기가 있다 (http://www.tomshardware.com/answers/id-1827862/power-states-worth.html).
- 하지만 이미 sleep (standby) mode 에서는 1W 정도의 미량만 소비되고 있었던 것 같다 (https://secure.www.upenn.edu/computing/resources/category/hardware/article/computer-power-usage).
- 결국, sleep 시간은 많아도 idle 시간은 실제로 별로 많지 않으므로 큰 이득은 없는 것 같다.
2. 2014년 현재 컴퓨터는 보통 얼마의 전력을 소비하는가?
사례1: http://www.parkoz.com/zboard/view.php?id=low_power&page=1&sn1=&divpage=4&sn=off&ss=off&sc=on&keyword=%C7%CF%BD%BA%C0%A3&select_arrange=headnum&desc=asc&no=6990
85칩셋, G3220(TDP 54W), 4GB RAM, FSP 400-60APN(80plus standard 에 근접한 성능), HDD x 1: idle 29
사례2: http://www.parkoz.com/zboard/view.php?id=low_power&page=1&sn1=&divpage=4&sn=off&ss=off&sc=on&keyword=pico&select_arrange=headnum&desc=asc&no=6895
Asrock H77m ITX, i3-3240 (TDP 55W), 8GB RAM, Pico PSU 150W + sun 1210 120W 어댑터, 노트북용 HDD x 1: idle 17~20, 부팅시 33, 동영상 25~27, Prime95 구동시 55
사례3: http://www.parkoz.com/zboard/view.php?id=low_power&page=1&sn1=&divpage=4&sn=off&ss=off&sc=on&keyword=%C7%CF%BD%BA%C0%A3&select_arrange=headnum&desc=asc&no=6906
MSI B75MA-P45, i5 3470(TDP 77W), 4GB x2 RAM, Enermax MODU+ 425W, SSD x 2, HDD x 3: idle 40W, full load 113W, web 45~50, SSD 1개만 남기고 HDD 절전모드에서 idle 26W, HDD 1개를 떼어내면 idle 31W
결론적으로 TDP 54W 정도의 CPU 에 효율좋은 PSU + SSD 1 개: idle 20 정도도, 일반 사용 30 이하, full load 54 정도 될 것 같다.
3. PSU 에 따른 전력 소비 차이는 얼마나 될까?
사례1: http://www.parkoz.com/zboard/view.php?id=low_power&page=1&sn1=&divpage=4&sn=off&ss=off&sc=on&keyword=%C3%F8%C1%A4&select_arrange=headnum&desc=asc&no=6946
MSI B75MA-E33, i3 3250, 8GB RAM, VGA - VTX HD7750 D5 1GB LP.Ver, SSD x 1, HDD x 1
+ Enhance 7025B 250W: web 37W, HD 동영상 43W, 3DMark demo 87W
+ FSP 300-GHS(85) + 120mm 팬 2개: web 39W, HD 동영상 45W, 3DMark demo 88W
사례2: http://www.parkoz.com/zboard/view.php?id=low_power&page=1&sn1=&divpage=4&sn=on&ss=off&sc=off&keyword=%B1%C7%C5%C2%B1%DD&select_arrange=headnum&desc=asc&no=6158
SOYO H61 D3, i3-2100(TDP 65W), HDD x 1
+ Yamuzin 500W SE (일종의 뻥파워): 대기 3.5, idle 37, 1080P 49, full load 74(W)
+ SF-350P14XE (80plus gold): 대기 0.3, idle 21, 1080P 33, full load 56(W)
4. 저전력에서 효율좋은 PSU 는 얼마나 가치있는가?
위 사례들을 보면, TDP 54W CPU + SSD x 1 정도의 시스템에서 idle 에서 가장 좋은 것이 적당한 것(80plus bronze 400W) 보다 좋은 정도는 10W 정도다. 아마 일반 사용시에도 10W 가 넘을 것이다. 아마 80plus gold (ex. RM450) 정도를 쓰면 10W 이내가 될 것이다. 1년에 천 시간 정도 컴퓨터를 사용하면 1년에 10W x 1k시간 x 0.13k원/kWh = 1.3천원의 차이가 생긴다. 거의 차이가 없는 셈이다.
********
1. Streacom DB4 base
Streacom DB4, 내장 PSU 500천원(?), GIGABYTE GA-H81N 98천원, Intel Pentium G3420 72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868천원
1-1. 모양 + 무소음 + 고사양
Streacom DB4, 내장 PSU 500천원(?), GIGABYTE GA-H81N 98천원, Intel i5 4570 227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1018천원
2. 소음 + 저사양
open case, Super Flower SF-400P14XE Golden Green HX 72천원, GIGABYTE GA-H81M-D2V 60천원, Intel Pentium G3420 72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402천원
3. 소음 + 고사양
pcpop 뷰 블랙 30천원, SF-400P14XE Golden Green HX 72천원, GA-H81M-HD3 72천원, Intel i5-4570 227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599천원
3. 무소음 mATX
open case, CORSAIR RM450 137천원, Nofan CR-95C 74천원, GIGABYTE GA-H81M-D2V 60천원, Intel Pentium G3420 72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541천원
3-1. 무소음 mini-iTX
open case, CORSAIR RM450 137천원, Nofan CR-80EH 34천원, GIGABYTE GA-H81N 102천원, Intel Pentium G3420 72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543천원
3-2. 무소음 mini-iTX
open case, CORSAIR RM450 137천원, Nofan CR-95C 74천원, GIGABYTE GA-H85N, 127천원, Intel Pentium G3420 72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608천원
3-3. 저소음 mini-iTX
enship case 15천원, CORSAIR RM450 137천원, GIGABYTE GA-H85N, 127천원, Intel Pentium G3420 72천원, 삼성 ddr3 4gb pc3-12800 단면 x 2 83천원, SanDisk X110 128GB(가이드미포함) 94천원, 기타 21천원 = 549천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