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학년
1. 전자기력
전자의 방향과 전류의 방향의 차이: 벤자민 프랭클린 으로부터 유래 -> 보통 전하의 움직임이란 (+) 전하의 움직임을 말한다. 근본적인 법칙: 전하 q 가 v 의 속도로 움직인다면 그 때 받는 힘은 F = q ( E + v X B) 이 식으로부터 Fleming's left hand rule 이 나온다. Fleming's right hand rule 도 여기에서 유도된다.
원과 같은 곡선의 한 점에서 v 의 방향은 접선의 방향이라는 것을 학생들이 처음에는 잘 이해하지 못하는 듯.
2. 화학
2-1. ideal gas law (이상기체법칙 혹은 이상기체방정식): PV = nRT "피부는 노랗다"로 외우면 위우기 쉽다고 한다. 보일의 법칙, 샤를의 법칙,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포함한다.
2-2. 산(acid)과 염기(base): 3 가지 정의 이온화 상수, 해리 상수, 산 해리 상수 (위키백과 참조) pH 의 정의 or 수소 이온 농도 (위키백과 참조)
3. 달의 모양 변화
사실, 지구와 달의 거리는 지구 직경의 수십 배 지구의 공전궤도가 그리는 평면 (ecliptic plane) 과 달의 공전궤도가 그리는 평면은 5도 정도 어긋나 있다. 그래서 보름달을 볼 수 있다. 세 개가 일직선일때 월식이나 일식이 일어나기 쉽다.
4. 세포분열 X 자 모양으로 표시되는 염색체는 l 자 모양의 염색체가 감수분열의 초기 단계에서 두 배로 양을 늘린 형태. 그러니까 상동염색체(homologous chromosome) 한 쌍이란 l 모양의 염색체 2 개, 혹은 X 모양의 염색체 2 개 모두 가리킨다. 예를 들어 인간은 23 쌍의 상동염색체를 갖는다.
체세포분열(mitosis) : 처음에는 l 모양의 염색체 23 쌍 -> 염색체가 복제, 2 배로 증가하면서 X 모양의 염색체 23 쌍 -> l 모양의 염색체 23 쌍을 갖는 세포 2 개
생식세포분열(감수분열=meiosis) (46 개의 염색체를 갖는 세포 1개가 23 개의 염색체를 갖는 세포 4개로) : 처음에는 l 모양의 염색체 23 쌍 -> 염색체가 복제, 2 배로 증가하면서 X 모양의 염색체 23 쌍 -> 상동염색체끼리 서로 가까이 접근하여 교차(crossover) -> meiosis I: 상동염색체의 한 짝씩 갖는 세포가 2 개 (한 세포 내에, 어떤 짝은 어머니, 어떤 짝은 아버지로부터 온 것들이다) -> meiosis II: X 모양이 다시 l 모양 2 개로 갈라지면서 세포수가 2 배 증가, 각 세포의 염색체 양이 1/2 로 감소
http://droualb.faculty.mjc.edu/Course%20Materials/Physiology%20101/Chapter%20Notes/Fall%202007/chapter_22%20Fall%202007.htm
/kalufiles/12185_meiosis.png |